세계유일의 세라믹촉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기술 & 에너지 전문기업입니다.

전처리(선별) 과정이
필요없는 공정
- 물질로 오염된 혼합재질류 폐비닐·폐플라스틱 투입가능
- 인적·물적 비용의 소모 최소화

배출설비(굴뚝)가 없는
폐쇄형 시설
- 공정상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

다단계 정제공정을 통한 고품질 정제연료유 생산
- 2~4차의 다단계 정제과정을 통해 산업용 경유급 정제연료유 생산
- 생산된 정제연료유는 유동점이 -48℃인 고품질 연료

친환경 세라믹볼을 활용한
저온 분해 공정
- 세라믹볼을 이용한 전체 공정이 270℃ 이하에서 진행
-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공해 물질이 발생되지 않음
기술개발 히스토리
연구실적
1. 세라믹‧금속 촉매를 이용한 폐플라스틱 액체 연료화 공정의 예비연구
- 주관연구기관: 울산대학교 첨단소재연구소
연구내용 및 결과
- 폐플라스틱 열분해공정 시 세라믹촉매 효과 확인
- 세라믹촉매가 부착된 분해공정 장치(R.G.O 10K)를 통한 폐플라스틱 분해반응 확인
- 처리부산물인 정제연료유의 품질검사를 통한 상품성 확인

R.G.O 10K 기기

실험 원재료(PE, PP, PS)
2. 폐차량의 PU(폴리에스테르 소재)내장재 특정폐기물의 친환경 저온촉매 분해에 의한 시료 분석
- 주관연구기관: OO모터스
- 연구내용 및 결과
1. PE, PP 혼합폐기물의 친환경 저온촉매 분해 실험
- PE, PP 혼합 폐기물 분해처리, 재생유 회수율 50%, 탄화 잔재물 30%를 얻음
- 탄화 잔재물은 수중 비중분리 후 품질기준에 적합한 고형연료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
2. PU와 기타 혼합폐기물의 친환경 저온촉매 분해 실험
- PU와 기타 혼합폐기물 분해처리, 재생유 회수율 15%, 탄화 잔재물 65%를 얻음
- 마찬가지로 탄화 잔재물은 물로 비중분리 후 품질기준에 적합한 고형연료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

(처리 전) PU 내장재 특정폐기물

(처리 후) PU 내장재 특정폐기물
3. R.G.O System의 폐플라스틱에 대한 회수에너지 효율측정 및 기타 시험
- 주관연구기관: 울산대학교 첨단소재연구소
연구내용 및 결과
1. 도시유전 R.G.O System 오일 회수율 및 품질 분석
- LDPE Pellet 투입, 분해처리결과, 약 80%의 회수율 확인
- 생산된 정제연료유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품질기준에 적합
– –47℃ 이하의 유동점
– 왁스화 현상 발생없음 ►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가능
2. R.G.O 생산설비 환경유해물질 배출농도 측정
- 해당 생산설비는 외부로 배출되는 연통이나 파이프가 원천적으로 필요하지 않는 시설
- 다이옥신 및 중금속 등의 인체유해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음을 검증

R.G.O No.3 분해처리 기기

환경유해물질 배출농도 측정
4. 세라믹 촉매를 활용한 고분자 플라스틱 Pellet의 열중량 분석(TGA: thermogravimetric analysis)
- 주관연구기관: ㈜도시유전
- 연구내용 및 결과
세라믹 촉매의 유무에 따른 플라스틱 Pellet의 열중량 분석(TGA)
실험1
- 실험군: 플라스틱 Pellet + 세라믹촉매
- 대조군:플라스틱 Pellet
- 실험내용: 고정된 온도(170℃)상태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플라스틱 질량변화
- 실험결과: 실험군이 대조군 대비 질량감소 시작시간이 빠르게 나타남
실험2
- 실험군: 플라스틱 Pellet + 세라믹 촉매
- 대조군: 플라스틱 Pellet + 자갈돌
- 실험내용: 시간 및 온도변화에 따른 플라스틱 질량변화
- 실험결과: 실험군이 대조군 대비 질량감소 시작온도가 현저히 낮음

170 ℃ 온도 유지상태 열분해 시 Pellet + 세라믹볼 경우, 질량변화 시작시간 단축

Pellet + 세라믹볼의 경우 시간변화에 따른 열분해 시, 분해시작 시간이 현저히 단축
5. 고분자화합물 분해용 세라믹 촉매에 대한 방사능 측정
- 주관연구기관 : 한국원자력연구원
연구내용 및 결과
고분자화합물 분해용 세라믹 촉매 성분 중 방사능물질 분석
- 분석결과1) U-238 농도 : 29.09±2.40(규정치 농도의 3/1000 이하)
- 분석결과2) Th-232 농도 : 30.42±2.60(규정치 농도의 3/100 이하)
- 결론 : 세라믹 촉매성분은 방사능물질이 아님을 검증

방사능 분석 결과
6. 정제연료유의 GC-MS(Gas Chromatography-Mass Spectrometer) 분석
- 주관연구기관 : 한국시험분석원
연구내용 및 결과
- 폐플라스틱 분해처리 공정이후 생산된 액상물질(이하“1차 오일”)을 분석한 결과 탄소 수 C20~C30 사이의 물질이 전체의 약 60%로 주요 구성성분 확인
- 1차 오일에 대한 다단계 정제과정을 통해 생산된 정제 연료유의 구성성분은 C9~C15로 확인, 이는 경유(C10~C15), 등유(C10~18)와 유사한 성분임을 확인

1차 세라믹볼 분해 후 액상연료의 GC-MS 결과
→ 구성성분이 C20~C30이 주를 이루는 중질유
